HOME ▶ 칼럼 ▶ 회원칼럼
부패공화국
이철영   |  2013-09-24 14:00:36  |  조회 3947 인쇄하기

부패공화국

 

- 사회적 자본 구축 없이 선진사회 진입은 없다


이철영 (()굿소사이어티 상임이사, 전 경희대 객원교수)

 

 

지난 6월 10일 멕시코의 시장(市長) 선거에 고양이가 시장 후보로 출마했다는 미국의 인터넷신문 허핑턴포스트(The Huffington Post)의 보도가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었다. 물론 고양이 후보 소동은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고양이를 시장 후보에 내세운 이유가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모리스(고양이의 이름)의 성품이 정치인에 딱 어울린다"고 한 고양이 주인의 설명이 전세계인의 공감을 샀다. 정치인에 대한 불신은 전세계인 공통의 정서(情緖)이자 공동의 문제인 듯하다.


얼마 전 독일 베를린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세계 107개국 일반인 114,300명을 대상으로 부패 인식과 경험을 조사한 ‘2013년 세계부패척도(世界腐敗尺度: Global Corruption Barometer)’를 발표하였다. 평점(가장 부패 5점, 가장 청렴 1점)으로 분석한 결과, 전세계 공통으로 정당이 가장 부패 정도가 심한 기관으로 인식되어, 정당(3.8점), 경찰(3.7), 공무원(3.6), 국회(3.6), 사법부(3.6), 민간기업(3.3), 의료기관(3.3), 교육기관(3.2), 언론(3.1), 군대(2.9), 시민단체(2.7), 종교단체(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치인에 대한 불신은 전세계인 공통의 정서


우리나라에서는 정당(3.9점), 국회(3.8), 종교단체(3.4), 공무원(3.3), 사법부(3.2), 경찰(3.2), 민간기업(3.2), 언론(3.2), 군대(3.1), 교육(3.1), 보건의료서비스(2.9), 시민단체(2.8)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청렴한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종교단체가 우리나라에서는 정당과 국회 다음으로 부패가 심한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우리 국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는 세계평균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뇌물제공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해 우리나라는 뇌물제공 경험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3%로 영국(5%), 미국ㆍ스위스(7%)보다 낮았다(주: 높은 국가청렴도로 잘 알려진 핀란드, 덴마크, 호주, 일본은 1%이며, 107개국 평균은 27%였음). 그러나, 우리나라가 영국이나 스위스보다도 국가청렴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뇌물공여 경험자가 3%로 낮은 이유는 공직자에게 제공한 수천만 원의 현금이나 명품시계를 뇌물이 아닌 단순한 떡값(선물)이라고 주장하듯 뇌물이 일상화 되어 뇌물에 대한 의식 자체가 희박한 탓이 아닐까?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한국갤럽(Gallup Korea)을 통해 작년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1,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우리나라 국민은 전체 참여자의 70%가 정당을 극단적으로 부패한 기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국회(64%), 종교단체(43%), 사법부(38%), 언론과 공무원(36%), 경찰(35%), 기업(33%), 군대(31%), 교육기관(30%) 등이다. 종교단체와 사법부가 공무원, 언론, 경찰 등보다 더 부패한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종교단체가 정당과 국회 다음으로 부패가 심한 기관?


최근 1만여 교회가 소속된 국내최대 개신교단(改新敎團)인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총회가 교단 설립 100주년을 맞아 ‘헌법 전면개정’을 추진하면서 소득의 10%를 헌금으로 내는 '십일조(十一租)'를 이행하지 않는 교인에 대해 자격을 정지하겠다고 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개정안 제17조 3항 ‘교인으로서 6개월 이상 예배에 출석하지 않거나 십일조 헌금을 하지 않는 교인은 권리가 자동 중지된다'는 부분과, 십일조와 각종 헌금을 '교인의 의무'로 추가한 제15조). 헌법개정의 취지가 어떻든 일각에선 “하나님 믿는 것도 이젠 돈이 있어야 하느냐......” “교인이라면 당연히 스스로 헌금을 해야 하지만 그것을 강제하는 것은 성경과 배치된다”는 등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종교단체가 정당과 국회 다음으로 부패가 심한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종교단체의 부패 여부나 그 정도를 쉽게 알 수가 없어 그야말로 국민들의 인식이자 추측에 불과할 수도 있다. 이 분야에 과문(寡聞)한 필자도 정부가 최근에 ‘2013년 세법개정안’을 통해 2015년부터 종교인에 대해서도 과세하겠다고 밝힌 것이 세수(稅收) 확대 목적 외에 이와 같은 국민정서가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히포크라테스’ 정신도 상업주의에 묻혀버렸다


부패 정도가 가장 낮은 기관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보건의료서비스(2.9) 분야에서조차 상업주의가 ‘히포크라테스 선서’ 정신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그 한 예로, 지난 6월 중앙일보 이철호 논설위원은 연세대 총장의 강의내용을 신문에 실었다. 세브란스병원의 응급실과 중환자실은 모자라고 장례식장만 근사하다는 총장 질문에 대한 대학병원 측의 대답이, “응급실과 중환자실은 의료보험 수가가 낮아 클수록 손해가 나서, 최소한의 법적 기준만 맞춰 지었다”, “장례식장은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장사가 되기 때문에 근사하게 지었다”는 등이었다고 한다. 또한, “목숨이 달린 응급실과 중환자실은 작고, 장례식장은 크고…… 병원이 마치 사람을 살리는 게 아니라 죽기를 바라는 것처럼 보이네요?”라는 총장의 질문에 “가격통제를 하니 세상이 불합리하게 돼버렸습니다”라고 답했고, “그럼 병원은 어디서 돈을 버나요?”라는 질문에 “검사를 많이 해야죠. 영국 전체보다 서울에 있는 MRI 대수가 더 많습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의 전반적인 현주소임을 공감하는 국민이 많을 것이다.


최근 '월급쟁이 증세(增稅)' 논란이 비등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의원들이 작년부터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는 급여인 '입법활동비'와 '특별활동비'를 대폭 인상해 비과세 혜택을 누려온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는 작년부터 일반직장인들처럼 소득세를 내는 의원들의 ‘일반수당’과 ‘관리업무수당’은 각각 3.5%만 인상한 반면, 비과세 혜택을 받는 '입법활동비'와 '특별활동비'는 과세대상소득 인상률의 무려 18.8배에 달하는 65.8%를 올렸다. ‘부패 0순위’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 정당과 국회의원다운 후안무치의 일면이다. 오죽하면 “가장 확실한 금연을 위해서는 담배표지의 경고 문구를 ‘이 담배의 판매수익금은 전액 국회의원 복지비용으로 사용됩니다’라고 쓰면 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돌까? 국회의원들은 기본급 외에 관리업무수당•정근수당•가족수당•입법활동비•특별활동비•명절휴가비•급식비•자녀학비지원금 등 다양한 명목으로 약 1억 5000만원의 연봉을 챙긴다. 게다가 일곱 명의 보좌관•비서관 등에 대한 인건비 4억여원과 차량유지비•유류대•운전기사 연봉으로 따로 5000여만원을 지원받는다. 외국 국회의원들의 부러움을 사고도 남을 혜택이다.


우리나라의 수사•단속•규제기관일수록 청렴도가 낮다


앞의 조사결과에서 보듯 정당과 국회는 물론 법치의 최후의 보루인 사법부마저 법복(法服) 속에 감춰왔던 치기(稚氣), 편견, 오만을 드러내며 국민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2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중 수사/단속/규제기관의 종합청렴도가 일반행정기관보다 오히려 낮았으며, 수사/단속/규제기관 중 경찰청, 검찰청이 5등급으로 최하위였고, 그 다음으로 국세청이 4등급이었다. 금융공직 유관단체에서는 금융감독원이 5등급으로 최하위였다. 결국 힘 있는 기관일수록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원전(原電) 비리가 일파만파인 가운데, 한국이 아시아 선진국(developed countries) 중 최악의 부패국가라는 조사결과도 있다. 매년 아시아 각국과 미국•호주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외국기업인 1000∼2000명을 대상으로 현지의 부패 정도를 조사하고 있는 홍콩 소재 컨설팅회사 PERC(Political and Economic Risk Consultancy: 政治經濟危險諮問公司)가 금년 3월 발표한 조사결과(가장 부패 10점∼가장 청렴 0점)에 따르면, 한국이 전체 17개국 중 여덟째로 부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04년 6.67점이던 부패 점수가 2010년 4.88점으로 떨어졌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6.98점으로 최고점을 경신했다. PERC는 2013년 우리나라의 부패 정도를 “아시아 선진국 중 최악이자 지난 10년 중 최악”으로 평가했다. 특히 기업 부패 정도와 부패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에서 아시아 2위의 불명예를 기록했다.


혈연•지연•학연 풍토와 정부의 규제가 부패 부추긴다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부정부패는 혈연•지연•학연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풍토와 정부의 규제에서 직접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규제는 곧 정치인이나 공무원의 부패의 도구가 될 수 있고, 혈연•지연•학연은 불공정한 일 처리와 부정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40여 년간 초고속 경제성장을 이룩했지만 선진국 진입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확충이라는 큰 과제를 안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인적, 물적 자본에 대응하는 개념의 무형자본이며, 국가청렴도는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이다. 사회적 자본의 확충은 사회전반에 걸친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게 되어 국가의 부(富)와 사회안정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된다. 앞서 살펴본 조사결과들처럼 부패를 단속해야 할 힘 있는 기관들이 부패에 앞장선다면 누가 어떻게 이 사회를 바로잡을 수 있단 말인가?

      
굿소사이어티
덧글쓰기 | 전체글 10개가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0/1200 bytes  
kss
선진국 진입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이 부패인 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을 많이 해주셨습니다. "정"이라는 우리나라의 기본적인 정서가 부패척결의 가장 큰 적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정치인들은 지역정서에 기대어 정치판을 개판으로 만들고 기업들은 국회의원의 입법권을 통하여 영리를 취하려고 하니 부정과 부패가 뿌리뽑히지 못하는 것 아닙니까.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과 같은 이런 좋은 칼럼은 좀 더 나은 사회로 가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13-12-26  
배우영
좋은 글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위정자들에겐 통렬한 폐부지언을 날리시고, 우리 민초들에겐 통쾌한 희망의 메세지를 주셔서 고맙습니다.다음 기고문이 기대됩니다.건승하십시요!   13-10-08  
wejun1104
원전비리.... 그래서 로이드에서 그문제 관련 전체검사 한답니다. 관련기사 여러개 떴어요. 연간120억상당이랍니다. 시기적절한 칼럼 잘읽고 갑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13-10-01  
허영진
언제나 객관적인 데이터와 명확한 출처를 바탕으로 명쾌한 논리로 사회의 병리를 지적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이번 주제인 부패문제는 수많은 언론이 수없이 다뤄왔지만 이번 칼럼처럼 명확한 근거와 대안을 제시하진 못한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굿소사이어티 실현을 위해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열심히 주위사람들에게 전파하겠습니다   13-09-30  
양 성호
감사합니다.굿세상 부정ㅂ패 할수 있는 분 들에게 굿 사회이지요..   13-09-28  
silent scream
사회의 부정한 모습들을 잘 지적하셨습니다. 해결 방향도 보이고요.

사실 우리 모두가 부정부패 근절을 외치고 있지만 부정부패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사람이 이 나라에 과연 얼마나 될까요?
우리나라엔 본인들도 모르는 사이에 부정부패에 발 담그는 경우가 널려있고, 사소한 부정부패는 모른 척 넘어가는 게 현명하다는 생각, 공짜를 너무 밝히는 후진적 국민정서, 사회적 약자들의 소위 생계형범죄에 대한 지나치게 관대한 법 적용, 뇌물 수준의 떡값과 경조사금, 각종 급행료, 사소하다고 생각하는 위법과 탈세 등 잘못이라는 의식조차 없이 저지르는 불법, 부정부패가 사회의 부정부패에 둔감하게 만드는 것 아닐까요?
바늘도둑이 소도둑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많은 국민들이 이렇다 보니 각종 불법 전과가 일반 국민들의 범죄비율보다도 훨씬 더 많다는 국회의원들이야 오죽하겠습니까?
국민 앞에 약속했던 국회의원 기득권포기 얘기는 사라진 지 오래고, 전세계 선진 자유민주국가에 유례가 없는 국회선진화법이란 해괴망칙한 법이라고 부르기조차 부끄러운 법을 만들어 마치 자신들이 선진 국회의원이나 되는 걸로 착각하는 저능한 뇌를 가진 한심한 작자들.
머리에 들은 건 없고 허구한 날 거리투쟁이나 하며 국민의 혈세나 축내는 종북좌파와 국가전복을 노리는 주체사상 불순분자까지.
심지어 부정부패 척결의 선봉에 서야 될 검찰총장의 혼외불륜도 상관없다고 얘기하는 정도의 정신상태에 더이상 무슨 말을.

이런 저질 악성 국회의원들 한테서 부패가 사라질 수 있을까?
앞으로 혹시 국가선진화법이란 걸 만들어 나라를 통째로 말아먹으려고 할까 봐 심히 우려됩니다.
나라에 별로 도움도 않되고 잘하는 것도 전혀 없지만 민주주의체제를 위해 버릴 수도 없는 계륵 같은 존재!
일부의 예외는 있을 수 있지만 국민을 대표한다는 국회의원들이 이지경이니 그래서 세상에 믿을 놈이 없다는 얘기까지 나왔나 봅니다.

아무튼 부정부패 척결과 관련 믿을 사람은 없고 남의 탓 하기 전에 우선 자기 자신부터 돌아봐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국민들 한사람 한사람이 바른 생각을 갖고 깨끗해지고 부정부패의 파수꾼 역할을 한다면 결국은 나라 전체가 훨씬 깨끗해지는 것 아닙니까?
  13-09-26  
백덕열
우리나라가 해방 후 반백년 이상 동안 여러 부문에서 선진화를 이룩하였으나 유일하게 이룩하지 못한 부문이 정치부문이 아닌가 합니다. 정치인들이 솔선하여 법과 양심을 지킨다면 저절로 지적하신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봅니다.   13-09-25  
최경호
초고속 물질적 압축성장을 이룬 우리사회의 부끄러운면을 깊은 통찰력으로 파 헤치고
또 대안을 제시 하셨습니다. 언급하신 사회적자본은 문화적 혹은 도덕적자본으로 표현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직, 배려, 준법, 도덕등의 가치라고 생각됩니다. 지적하신대로 특히 지도층 사람들의 부패와 거짓은 매일 신문의 헤드라인을 메우고 있어니 자라나는 아이들이 보고 배우고 있다고 생각하니 걱정입니다. 일부 사이비 국회의원, 종교인, 언론인, 교육자들에게 이 글을 한부씩 돌렸으면 합니다.   13-09-25  
김정숙
너무 지당한 말씀을 논리정연 하게 정리해 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social capital 확충,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떻게.. 참 어려운 숙제이네요.. 자신부터 먼저 살피는게 필요할듯요..
  13-09-25  
홍철유
잘 읽었습니다. 사회적 자본 구축 없이 선진사회 진입은 없다는 내용에 100% 공감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사회적 자본을 구축해야만 합니다.   13-09-25  
 
722 이석기 의원 사건에서 이끌어낼 교훈   1  우창록 13-09-24 3613
721 <칼럼3> 이석기를 키운 좌파 문화권력 3인방  2  조우석 13-09-24 5295
720 부패공화국  11  이철영 13-09-24 3947
719 "우린 왜 박정희 같은 지도자가 없나?" 베트남은 지금 그..  2  조우석 13-09-24 3876
718 건국의 가치와 굿소사이어티의 지향점  우창록 13-08-22 3733
717 <칼럼3> 역사전쟁 어떻게 대응해나갈 것인가  4  강규형 13-08-22 4000
716 왜 먼 곳으로 돌아가는가 '한강의 기적'이 창조경제의 전..  좌승희 13-08-22 3374
715 "나는 마오쩌둥의 개였다?"  조우석 13-08-22 3995
714 지금 우리의 간절한 소망을 찾아서  1  우창록 13-07-24 3530
713 떼법과 법치  10  이철영 13-07-24 4372
1112131415161718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