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커뮤니티 ▶ 자유토론
국회청문회의 횡포와 장관의 수모 인쇄하기
이름 이철영
2017-01-11 21:18:37  |  조회 3363

국회청문회의 횡포와 장관의 수모

                                          이철영 <()굿소사이어티 이사, 전 경희대 객원교수>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이른바 블랙리스트관련 국회청문회에서의 조윤선 장관의 답변 모습을 떠올리면 만감이 교차한다. 우선 청문회에서 야당 국회의원들이 밝혀라 7시간이라고 쓴 주먹만한 뺏지를 달고 앉아서 서슬 퍼런 훈육선생이 어린 여학생에게 고함치는 듯한 꼴이 참으로 볼썽사납다.

도둑질하다 들킨 꼴로 앉아 어정쩡한 답변만 되풀이하는 조윤선 장관을 지켜보면서 안쓰러운 마음과 함께 우리나라 장관과 우리 정치판의 한심한 수준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야당의원의 무지막지한 고함에 주눅든 장관이 오랜 주저 끝에 한 답변이 "(특정 성향을 가진) 문화·예술인들의 지원을 배제하는 그런 명단은 있었던 것으로 판단이 되고 있다……문화·예술인은 물론 국민에게 심대한 고통과 실망을 야기해 깊이 사과 드린다"이었다. 참으로 무책임하고 경솔한 발언이 아닐 수 없으며, 장관이 과연 조직을 이끌어 갈 소신과 리더십이 있는지 딱하고 걱정스럽다.

답변을 회피한다고 해서 어차피 유야무야로 넘어갈 수 없는 상황임이 뻔한데, 한 나라의 장관으로서 소신을 가지고 특검이나 야당의 블랙리스트관련 주장에 대해 당당하게 맞섰어야 마땅하지 않은가? 우선 국민에게 심대한 고통과 실망을 야기해 깊이 사과한다는 말의 의미는 장관(조윤선 장관이던 그의 전임자이던)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이며 또한 국민들이 블랙리스트존재 사실에 고통을 받고 실망했다는 뜻이 된다. 과연 그런가?

물론 이런 리스트존재 사실에 대해 촛불을 들 국민도 있겠지만, 이런 리스트가 있다는 사실에 (전체) 국민이 심대한 고통을 받고 실망했다는 듯한 조윤선 장관의 발언은 가히 망언 수준이다. ‘블랙리스트작성 지시나 작성 작업이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그런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불법인지 여부를 따지기 이전에 그런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국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국익에 반하는 것인지부터 따져봐야 할 것이다. 우선, 정부가 정책수행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작성한 특정 리스트블랙리스트라고 폄하하는 것부터가 적절치 않다.

교육문화는 국민의 지식, 교양의 수준은 물론 국가의 이념적 정체성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국가 주요 정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이념과 체제를 위협할 수 있는 제반 요소들을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은 비단 문화관광체육부만이 아니라 모든 정부부처의 기본 임무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자유민주주의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위해가 될 우려가 있는 집단을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런 집단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제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우리나라 공직자들은 대체로 무죄에 대한 개념이 희박하다. 공직 유지 수준의 벌금형을 받았거나 집행유예, 선고유예 등의 판결을 받은 공직자들은 무죄의 선량한 국민이 아니다. 감방에 갇히지 않았거나 공직을 유지하고 있을 따름이지 죄인임에 틀림없다. ‘죄인에게 공무수행을 허용하는 집행유예나 선고유예 등의 판결에 대한 일반 국민의 정서는 극히 부정적이다. 하물며 그런 사람들이 안하무인 큰소리치는 모습은 더욱 가관이다. 우리 국민의 눈높이로는 현 제1야당 대표나 서울시교육감도 국민들에게 그런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문화체육관광부 블랙리스트관련 청문회에서 연약해 보이는 여성 장관을 마치 비행(非行) 청소년 다루듯 다그치는 국회의원들의 고압적인 자세는 그 자체로 실소를 금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주무장관으로서 어떻게 답변했어야 마땅할까?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공무원은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민주법치사회를 지킬 의무가 있다. 이 나라 모든 공직자들은 공무를 수행하면서 어떤 내용이나 형태이던 다양한 리스트들을 작성하고, 보고 받고, 비교 검토하면서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한다. 정부는 자유민주주의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리한 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할 수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거나 훼방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국가예산을 지원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따라서 그런 목적의 리스트블랙리스트라고 폄하하는 것부터 잘못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블랙리스트라는 표현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답변했다면 기세 등등한 야당의원들이 또 뭐라고 호통쳤을까? 이번 블랙리스트소동은 비단 문화체육관광부에만 국한되는 문제는 아닐 것이다. 만일 국정원이 간첩용의자 리스트, 검찰이나 경찰이 우범자 리스트, 국세청이 ‘(각종) 탈세의혹자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면 또다시 블랙리스트청문회 운운할 것인가?

       
굿소사이어티
덧글쓰기 | 전체글 5개가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0/1200 bytes  
이철영
조 장관이 청문위원들의 질문 내용이나 저질스런 꼴이 하도 기가 막혀서 할 말을 잃는 것으로 이해하고 싶습니다만, 우리나라 수준이 이 정도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 참으로 안타깝네요. 정치인들 칭찬하는 칼럼을 쓸 수 있는 나라가 됐으면......   17-01-13  
황훈
백번 옳은 말씀입니다. 그렇게 답했더라면 저 무식한 놈들 개망신도 주고, 시청자들 가슴도 시원하게 뻥 뚫어줬을텐데 그 절호의 기회를 놓친게 아쉽습니다. 한편, 저렇게 증인을 일방적으로 몰아치는 분위기 속에서 평시에 침착하고 조리있었던 젊은 여성장관인들뭐 어쩔 도리가 잇었을까 오히려 동정이 앞섭니다. 조폭 깡패같은 놈들이 무지막지한 갑질을 해대는데...게다가 이 사회가 도대체 다 제 정신이 아닌 듯 미쳐 돌아가는 와중에 젊고 유능한 여성 장관 하나가 누구 하나 구조할 생각도 않는 고립무원의 처지로 몰려가는 상황에 오히려 피가 거꾸로 끓어오르는 심정이 저 하나만이 아니었으리라 생각해 봅니다. 청문회가 무엇인지, 청문회는 문자 그대로 "듣기", 영어로 "Hearing"입니다. 증인들이나 참고인들의 진술을 경청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강구해 나가야 하는 지극히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과정이라야 합니다. 취조나 공판이 아닌 것입니다. 소도둑같이 생긴 놈들이 그날 행한 짓은 극도의 공포심을 조장하여 한 인격체의 자존감을 여지없이 짓밟는 일종의 고문이요 폭력행위였습니다. 이것이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는 자들의 현 주소입니다. 다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17-01-13  
choi kh
조장관이 청문회 나가기전 글 마지막 부분 9줄에 쓰신 주장을 외워서라도 야당의원 앞에
당당히 맞섰다면 얼마나 많은 애국시민이 감동을 받았겠습니까?
분단상황에서 문화.예술인들이 북한을 찬양하는 영화를 만든다거나, 책을 쓴다거나
노래를 만드는 것은 이적행위에 가까운 것 아닙니까? 통일 한국이라면 공산주의를
찬양하든 말든 표현의 자유라고도 여겨질 수도 있을지 모르지만 적과 대치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선 이적행위라고 아니할 수 없습니다.
2, 청문회가 우리국회에 언감생심 타당한 제도 입니까?
삿대질 하고 시정잡배도 쓰기 부끄러운 저질의 말을 쏟아내고 준비한 질문만 하고
답변은 들을 생각도 없고 카메라만 의식하는 3류 정치배들의 행태를 언제까지
보곡 있어야 합니까? 청문회 없애겠다는 대선후보는 없나요?
  17-01-13  
임종건
옳은 지적입니다. 그런데 만명이라니 너무 많다는 느낌은 있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무엇을 했길래 만명씩이나 남겨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17-01-12  
이경훈
정말 옳은 말씀입니다.
국가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리스트가 당연히 있어야 하는 것이죠.   17-01-12  
 
78 중국 굴기로 통일은 멀어 자강 번영을 꾀해야  1  이상억 17-04-06 2147
77 세월호 인양에 따른 기대와 우려  6  이철영 17-03-24 3371
76 이게 나라냐…… 그래서 태극기를 든다!  12  이철영 17-03-05 3349
75 ‘나체 패러디’ 사건의 반면교사(反面敎師)  12  이철영 17-01-26 3377
74 국회청문회의 횡포와 장관의 수모  6  이철영 17-01-11 3363
73 이 사회의 ‘덩덕개’와 ‘시정마(始精馬)’들  5  이철영 16-12-30 4160
72 ‘언론 전성시대’인가 ‘언론 독재시대’인가?  4  이철영 16-12-03 3508
71 하야퇴진정국을 개헌정국으로 승화시키자  1  이영일 16-11-27 3155
70 ‘빈 수레’가 아닌 ‘침묵의 연인’이 절실한 때이다  7  이철영 16-11-17 4491
69 ‘순국선열’과 ‘서대문독립공원’  6  이철영 16-11-10 2822
1112131415161718